본문 바로가기
자격증

2025년 최신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 조건 완벽 가이드 및 응시자격 총정리

by 겸사 2025. 3. 26.
반응형

전기기사는 전기 시설의 보안 및 관리를 담당하며, 전기 기계 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와 전기 설비의 설계, 도면 작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 작동, 운용 관리 등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. 매년 4만~6만 명이 응시할 정도로 인기 있는 자격증이지만, 응시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 

전기기사 응시자격 조건

전기기사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충족할 수 있습니다:

  1. 관련학과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
    • 4년제 대학교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(4학년 1학기 이상 재학 중인 경우)
    •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 후 동일(유사)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경력자
    •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 후 동일(유사)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경력자
  2. 자격증 취득 후 실무경력
    • 산업기사 취득 후 동일(유사) 직무분야 실무경력 1년 이상
    • 기능사 취득 후 동일(유사) 직무분야 실무경력 3년 이상
  3. 실무경력만으로 응시
    • 동일(유사) 직무분야 실무경력 4년 이상
  4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기사 등급 취득자
  5. 학점은행제 활용
    • 학점은행제 경영학 전공으로 106학점 이상 이수

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란?

많은 사람들이 "전기 분야에서 일하지 않으면 응시할 수 없다"고 오해하지만, 실제로는 다양한 분야가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로 인정됩니다.

전기 관련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건설
  • 기계
  • 방송
  • 재료
  • 전자
  • 정보통신
  • 안전관리
  • 환경
  • 에너지
  • 경영, 회계, 생산관리

자주 오해하는 부분

  1. 산업기사/기능사 자격증 관련
    • 전기기사를 취득하기 위해 반드시 전기산업기사나 전기기능사를 취득할 필요는 없습니다.
    • 국가기술자격으로 인정되는 어떤 산업기사나 기능사 자격증이라도 취득 후 정해진 기간 동안 동일유사 직무분야에서 실무경력이 있으면 됩니다.
  2. 실무경력 인정 범위
    • 실무경력은 전기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,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경력도 인정됩니다.

학점은행제를 통한 응시자격 취득

학점은행제는 비전공자나 고졸자가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가장 빠르게 충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
  • 고등학교 졸업자: 온라인 강의로만 진행할 경우 5학기(2년 반) 소요, 자격증과 독학사 시험 병행 시 3학기(1년)로 단축 가능
  • 2년제 대학교 졸업자: 최대 80학점 활용 가능, 자격증 또는 독학사 병행 시 1학기 안에 응시자격 취득 가능
  • 3년제 대학교 졸업자/4년제 대학교 중퇴자: 최대 120학점/140학점 활용 가능, 18학점은 학점은행제 기준으로 이수 필요
  • 4년제 대학교 졸업자(타전공): 학점은행제 타전공 제도 활용해 48학점 이수 시 응시자격 취득 가능

마치며

전기기사 자격증은 취득 후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. 응시자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 응시자격 확인은 큐넷(Q-net) 홈페이지에서 '응시자격 자가진단'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